80대까지는 아직 노인이 아니다
(1)신중년층 (Active Senior) 오늘의 노인은 어제의 노인이 아니다. 미국 시카고대학의 저명한 심리학 교수인 버니스 뉴가튼(Bernice Neugarten)는 젊고 건강한 신중년 또는 젊은 고령자 쯤으로 해석한다. 신감각 고령자, 남의 돌봄이 필요 없는 건강한 연장자라는 의미다. (2)과거의 노인과는 다르다 과거의 같은 세대에 비해 훨씬 젊다는 점이다. 평균 수명이 짧았던 시대에는 (3) 0.8곱하기 인생 그래서 세계 최장수 국가인 일본에서는 '0.8곱하기 인생’이라는 나이 계산법이 있다고 한다. 현재의 나이에 0.8을 곱하면 그 동안 우리에게 예를 들어 현재 80세인 사람은 (4)보호 받을 대상이 아니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80세에서 병이나 허약체질, 이는 우리나라도 크게 다르지 않다. (5) 풍부한 경험의 소유자 오늘의 노인들은 풍부한 경험의 소유자들이다. 국내외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며 (6) 미래의 주역이 될 세대다. 이젠 우리도 장수국이다. 반면 새로 수혈되는 인구는 급격이 줄어들고 있다. 평균수명의 급격한 증가와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은 (7)신중년층 세대의 사회적 영향력 8년 후인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 이 정도면 세계 최고의 고령화 스피드다. 그렇게 되면 신중년층 세대의 사회적 영향력은
보기에도 좋고 건강하다.
80세까지는 아직 노인이 아니다.
미국서는 이세대를 Active Senior라고 부른다.
천수를 누리는 사람들로 뒷방으로 물러나
여생을 보내는 세대였지만,
요즘과 같은 고령화 시대는
인생의 정점을 조금 지난 나이에 불과한 것이다.
최근 장수 시대의 실상을 반영하여
익숙한 인생의 나이가 된다는 것이다.
과거의 64세인 사람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건강하다는 것이다.
소위 노인병으로 일상 생활을 할 수 없는
사람은 5%미만”이라고 한다.
그래서 70세 이후의 사람들을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실패도 성공도 많이겪었다.
(누가 이들을 노인으로 보는가)
거리에는 젊고 건강한 노인들로 넘쳐나고 있다.
여성 1인당 출산율은 1.08명으로 세계 최저다.
한국 사회를 빠르게 고령화시키고 있다.
(super aged society)로 진입할 전망이다.
지금보다도 훨씬 커질 것이고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지는
매우 중요한 사람들이 될 것이다./자료ⓒ창골산 봉서방
'세상이즐겁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아! 딸들아! (0) | 2019.11.24 |
---|---|
말에 대한 지혜 (0) | 2019.11.23 |
푸미폰 국왕의 사랑 (0) | 2019.11.20 |
두 종류의 인권과 생명 (0) | 2019.11.16 |
궤변의 용기 (0) | 2019.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