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관리의 중요성
당뇨병성 발의 합병증은 조기에 신속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손상과 심지어는 다리 절단의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건강한 발 관리와 발의 문제점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 통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 나와 있는 발을 관리하는 습관을 생활화 하도록 합시다.
(1) 발을 매일 관찰합니다.
▶발가락 사이와 발바닥에 티눈, 굳은살, 금이 간 곳이 있는지 봅니다.
▶발톱이 뚜꺼운가, 건조한가, 위로 올라갔는가 봅니다.
▶발톱 둘레, 발가락 사이, 발바닥과 발등 위에 부종, 물집, 피부색의 변화를 봅니다.
▶발과 발톱에 무좀이 있는가 봅니다.
▶발의 증상을 관찰합니다.
(2) 증상
말초 혈관손상
▶발이 차가움
▶털이 줄어들고 피부가 번들거림
▶발톱이 두꺼워짐
▶걸을 때 근육통이 생기고, 서서 잠시 쉬면 통증이 없어짐
말초 신경손상
▶칼로 찌르거나 화끈거리는 통증
▶땀분비가 없고 피부가 건조함
▶망치발가락, 엄지발가락 기형
▶감각이 둔하거나 없음
(3)신속한 치료를 합니다.
▶감염이 있고 궤양 넓이 2cm 이상이며, 깊이가 0.5cm 이상인 경우
▶수포, 티눈, 굳은살 등에서 악취를 동반한 액체가 있을 경우
▶통증의 유무와 관계없이 발톱 부위에 발적과 부종이 있을 경우
▶발이나 다리 어느 부분이라도 검푸르거나 검은 색깔로 변한 경우
▶발에 관통상이 있는 경우
▶38도 이상의 고열이나 통증에 대한 감각이 줄었을 경우
▶발이 비정상적으로 차거나 경련이 있거나 쑤시거나 불편한 경우
▶열과 오한의 유무에 관계없이 다리를 타고 올라가는 붉은 줄이 생긴 경우
(4)매일 발관리를 실천합니다.
▶미지근한 물과 자극이 적은 비누로 매일 씻고 잘 말려 발가락 사이에 곰팡이균이 자라지 않도록 합니다.
▶적당한 보습크림이나 로션을 발등과 발바닥, 발뒷꿈치에 발라 주어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발톱은 너무 짧거나 길지 않게 일자로 자르고 가장자리의 날카로운 부분은 줄로 갈아줍니다.
▶신발을 신기에 신발 안에 이물질이나, 신발 안창을 살피고 신도록 하며 신발 구입시에는 아침보다는 저녁에 발이 약간 붓는 경향이 있으므로 저녁에 구입합니다.
▶신발은 똑바로 서있는 상태에서 가장 긴 발가락의 길이보다 0.7cm정도 더 큰 치수로 구두 굽의 높이가 2.5cm 이하이고 통기성이 좋은 가죽으로 된 등산화 모양의 신발이 좋습니다.
▶면이나 모로 된 양말을 신는 것이 좋고 하루에 한번 갈아 신되. 곰팡이균 감염이 있거나 땀이 많이 나는 당뇨인은 하루에 2번 갈아 신습니다.
건강한 발 관리를 위한 제안
해야될 것
▶혈당, 콜레스테롤, 혈압을 정상 범위로 유지합니다.
▶발을 매일 관찰 합니다.
▶잘 맞는 양말과 신발을 신습니다.
▶발에 대한 정기 검진을 받습니다.
▶발에 대한 문의점, 감염의 증상이 있으면 즉각적으로 문의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합니다.
▶진료시마다 발에 대해 점검받고, 발에 관한 상담을 합니다.
하지 말아야 할 것
▶피부가 지나치게 건조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발을 10분 이상 물에 담그지 않습니다.
▶발의 혈액순환을 저하시키는 어떤 일도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흡연, 꽉 끼는 거들이나 양말,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 등등.
▶너무 차갑거나 너무 뜨거운 곳에 발을 노출시키지 않습니다.
▶맨발로 다니지 않습니다.
▶티눈과 굳은살을 칼로 도려내거나, 티눈 빼는 약을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당뇨병 교육실
▶담당교수: 내분비내과 김동준 교수
▶교육전담 간호사: 이현주
▶문의전화: 031)910-7223
'세상이즐겁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속의 체조 (0) | 2016.01.14 |
---|---|
소매치기 (0) | 2016.01.14 |
엉ㅠㅠ이상한게 따라와...... (0) | 2016.01.14 |
[스크랩] (정은영의 키보드강좌 모두보기) (0) | 2016.01.13 |
약해지지 마 (0) | 201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