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禍)를 관리하는 10가지 방법....
1. “~~해야만 한다.”는 생각을 버린다.
화(禍)가 났을 때
“이건 있을 수 없는 일이야.”
“그 사람이 나에게 최소한 이렇게 했어야만 해.”
이와 같은 비합리적(非合理的)인 생각을 하고 있지 않은지 점검(點檢)한다.
세상(世上)에 “있을 수 없는 일”이란 없고 “해야만 하는 사람”도 없다.
“내가 삼촌뻘인데”
“내가 그 동안 그에게 어떻게 해줬는데”와 같은 생각도
자신(自身)의 기준(基準)일 뿐이다.
2. 극단적(極端的)인 표현(表現)을 삼간다.
“저 사람과는 끝이야!” “열 받아 미치겠어.” 대신
“기분이 좋지 않다.”고 말해보자.
표현(表現)에 따라 기분(氣分)도 바뀐다.
3. “나 같으면 절대~~”라는 가정(假定)은 하지 않는다.
엄밀(嚴密)히 말해 그 사람이 “나 같이” 행동(行動)해야 한다는 근거(根據)는 없다.
그 사람 입장(立場)에선 또 다른 사정(事情)이 있을 수 있다.
4. 성악설(性惡說)을 믿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인간(人間)은 죄인(罪人)일 뿐 아니라 누구나 불완전(不完全)하다.
사람들이 가끔 부당(不當)해 보이는 게 당연(當然)하다고 받아들이자.
“난 이런 거 못 참아.”라고 생각해 봤자 스트레스만 커진다.
5. 사람과 행동(行動)을 구별(區別)한다.
특정 행동(特定 行動)에 대한 비판(批判)이 아니라 행위자(行爲者) 자체(自體)를
‘용서할 수 없는 나쁜 사람’으로 규정(規定)함으로써
자신(自身)의 분노(또는 욕설과 폭력행사)를
정당화(正當化)하려는 경향(傾向)을 주의(注意)한다.
6. 오늘 낼 화(禍)를 내일로 미룬다.
흥분 상태(興奮 狀態)에선 실수(失手)를 하기 쉽다.
당장 화(禍)내고 싶어도 일단 미뤄 둔다.
차분한 상태(狀態)로 대응(對應)하는 게 언제나 더 이롭다.
7. 화(禍)를 내는 게 어떤 효용(效用)이 있는지 생각한다.
대부분(大部分)의 경우 분노(憤怒)의 표출(表出)은
인간관계(人間關係)와 상황(狀況)을 악화(惡化)시킬 뿐이다.
화(禍)내봤자 얻는 게 없다고 생각되면 즉각 단념(斷念)한다.
8. 제3자에게 화풀이하지 않는다.
화(禍)가 났을 때 괜히 타인(他人)에게 화풀이함으로써
갈등(葛藤)을 2배로 키우기 쉽다.
“난 화가 났으니까 이래도 된다.”고 생각하는 순간 외톨이가 된다.
9. 좋았던 기억(記憶)을 떠올린다.
어떤 사람에게 화(禍)가 났을 때 그 사람과 즐거웠던 추억(追憶)을 떠올리고
그 기억(記憶)에 몰두(沒頭)함으로써 나쁜 기억(記憶)을 몰아내려고 노력(努力)한다.
10. 남의 일처럼 생각한다.
내가 주인공(主人公)인 드라마를 보는 기분으로
한 발 떨어져 생각하면 비극적(悲劇的)인 상황(狀況)도
낭만적(浪漫的)이거나 코믹하게 느껴진다..../자료ⓒ창골산 봉서방
'세상이즐겁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년을 즐기는 아홉가지 생각 (0) | 2019.10.05 |
---|---|
분노를 다스리는 10가지 방법 (0) | 2019.10.05 |
일산-서울역 경의선전철시간표(19년10월현재) (0) | 2019.09.30 |
고통은 지나가지만, 아름다움은 남는다 (0) | 2019.09.28 |
현인이 되기 위한 7가지 조건 (0) | 2019.09.28 |